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돌려주지 못한 ‘숨은 돈’이 수백억 원에 이른다고 합니다. 조회만 하면 누구나 3년 전 보험료까지 환급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놓치고 있던 내 돈 찾기, 지금부터 그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건강보험료 환급금이 뭐길래?
“건강보험료 환급금”은 아래와 같은 사유로 과오납된 보험료를 말합니다.
■ 이중 납부한 경우
■ 자격 변동(퇴사, 소득 감소 등)으로 더 낸 경우
■ 정산 과정에서 실제 소득이 줄어든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매년 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정산하는데, 이 과정에서 더 낸 사람은 환급을, 덜 낸 사람은 추가 납부를 하게 되죠. 환급금은 3년 이내 신청하지 않으면 국고로 귀속되니 미루지 말고 확인하세요!
나는 환급 대상자일까?
올해 4월 정산 기준에 따르면, 보수가 줄어든 직장가입자 353만 명이 환급 대상입니다. 1인당 평균 117,000원이 돌려진다고 해요. 단, 직장가입자는 회사가 자동 처리하지만 부수입이 있는 사람, 지역가입자는 직접 확인 후 신청해야 합니다.
환급 대상자 예시
■ 정년퇴직 후 소득이 크게 줄어든 사람
■ 일시적으로 소득이 줄었거나 휴직했던 직장인
■ 이중 납부 이력이 있는 경우
어떻게 확인하나요?
건강보험료 환급금 조회와 신청은 아래 3가지 경로로 가능하며, 환급 대상이라면 신청 후 7일 이내 지급됩니다.
■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개인민원 → 환급금 조회/신청]
■ ‘The 건강보험’ 앱
모바일에서도 간편 조회 가능
■ 전화
대표번호 1577-1000
매번 조회하기 귀찮다면?
‘자동 환급 계좌 등록 제도’를 활용하세요. 한 번 계좌를 등록해 두면, 이후 환급금이 발생할 때 자동 입금되며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간단히 등록할 수 있어요.
‘환급금’ 사칭 피싱 주의!
건강보험공단은 네이버 전자문서함 등 공식 채널로만 알림을 보냅니다. 문자 메시지로는 절대 알리지 않습니다. 만약 ‘환급금 지급 대상입니다’라는 문자를 받으셨다면, 첨부된 링크를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피해 의심 시🚨 한국인터넷진흥원 불법스팸대응센터 (국번 없이 118)
오히려 보험료가 올랐다면?
정산 결과 추가 납부 대상이 될 수도 있어요. 이 경우 부담이 크다면, 최대 12개월 분할 납부 신청이 가능합니다.
■ 신청 기한 : 보통 5월 중순까지 (매년 변동)
■ 불복 시 이의신청 가능 : 처분을 안 날로부터 90일 이내
보험료 줄이는 똑똑한 팁
✔ 단기 수입? ‘해촉증명서’를 준비하세요
단기간 프로젝트 수입이 반복 소득으로 오인돼 보험료가 과도하게 부과될 수 있어요. 이럴 땐 해당 업체에서 해촉증명서를 받아 제출하세요.
✔ 자산 구조 재정비
- 금융자산(이자·배당)보다 연금 자산 쪽이 보험료에 영향 적어요.
- 부동산 등 고가 자산을 줄이면 재산 기준 보험료도 줄어듭니다.
✔ 퇴직 후엔 ‘임의계속가입제도’
실직 또는 퇴직한 직장인은 퇴직 후 2개월 이내 신청 시 직장가입 자격을 최대 3년간 유지할 수 있어요. 보험료도 직장 재직 시 수준으로만 납부하면 됩니다.
건강보험료 환급금은 신청하지 않으면, 3년 뒤엔 사라지는 돈입니다. 매년 수백억 원이 주인을 찾지 못한 채 국고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돌려받을 수 있는 건 혜택이 아니라, 당연한 권리입니다.
혹시 모를 내 이름의 환급금, 지금 한 번 확인해 보세요.🙂